스마트스토어 등 판매자로 등록을하면, 판매자 정보가 소비자에게 보이도록 되어있다. 상호명, 사업장 소재지, 대표자, 고객센터 전화번호, 이메일 등이 표시되는데, 나의 개인정보가 적나라하게 게시되고, 개인사업자로 등록하면 심지어 생년월일까지 표시된다. 현재 나는 생년월일이 표시되어 있고, 사업자 전환을 마치면 사업자 번호가 표시된다. 이미 퍼져버린 개인정보라지만, 보면서 항상 찜찜해서 통신사의 듀얼넘버 서비스(3,000원정도)를 신청하려다가 무료로 안심번호를 받을 수 있는걸 알게되었다. 얼마전까지는 몇몇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무료안심번호를 발급받을 수 있었다는데, 유료로 전환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알게된 무료발급처는 바로 네이버 스마트 플레이스 이다. https://new.smartplace.naver...
https://www.foodsafetykorea.go.kr/main.do 식품안전나라 국내뉴스 식품영양성분데이터베이스를 소개합니다 식품영양성분통합데이터베이스를 소개합니다. 영양성분데이터가 기관별로 분산·제공되어 연계·활용하기 어려웠나요? 중복정보, 상이한 코 www.foodsafetykorea.go.kr 해외구매대행업을 하면서, 그릇이나 식기, 식품, 심지어 텀블러, 컵 등 입에 직접적으로 닿는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입식품판매 영업등록"을 해야한다. 교육은 한국산업식품협회 에서 듣고, 영업신청은 식품안전나라 에서, 면허세 납부는 위택스에서. 한 곳에서 하면 좋겠지만 시스템이 아주 복잡,번잡하다. 회원가입 > 개인회원 통합민원상담 > 자주찾는 민원 > 수입식품등 영업등록사항 신청 > 인터넷..
www.kfia21.or.kr 한국식품산업협회 온라인 식품위생교육 한국식품산업협회 온라인 식품위생교육입니다 www.kfia21.or.kr 2022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제작되어 상기의 내용은 현행법령, 행정규직 등과 다를 수 있습니다.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에서 사용하는 용어 1. 수입식품등 해외에서 국내로 수입되는 「식품위생법」 제2조에 따른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용기·포장(이하 "식품등")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강기능식품") 「축산물 위생관리법」 제2조에 따른 축산물(이하 "축산물" 2. 수입식품등의 유통이력추적관리 수입식품등의 수입부터 판매까지 단계별로 정보를 기록·관리하여 그 수입식품등의 안전성 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수입식품등을 추적하여 원..
내가 스마트스토어에서 개인사업자로 운영하다가, 급하게 사업자등록을 한 이유는 바로 식품위생교육이 필요해서 이다. 해외구매대행을 하면서 식기, 식품, 등의 물건을 판매할때 반드시 "수입식품 판매 영업등록"이 필요하다. 나는 식품 즉, 먹는 음식만 판매 안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했지만, 입에 닿는 모든 물품들(텀플러, 그릇, 컵 등)이 통틀어 식품이라는 범주안에 들어가 있었다. 판매를 위해 올려놓았던 상품들을 급하게 품절로 돌려 놓고, 사업자등록을 하고 식품위생교육을 진행했다. 신규영업자 대상으로 9월까지만 온라인 수강이 가능하고, 2022년 10월 부터는 집합교육으로 실시될 예정이라고 한다. 교육비 : 20,000 원 https://www.kfia21.or.kr/ 한국식품산업협회 온라인 식품위생교육 한국식품산..
1. 사업자 등록신청 2. 판매사이트(스마트스토어 등) 가입/사업자 인증 3. 통신판매업 신고 나는 테스트를 목적으로 스마트스토어에 가입하여 개인판매자로 활동을 하고 있었다. 스마트스토어 가입절차는 어려운게 전혀 없었고, 사업자 등록 없이 개인판매자를 유지할 경우, 가산세가 부가될 수 있기에 사업자로 전환만 해주었다. 통신판매업 신고는 하지 않았는데, 부가가치세법 제2조 제4호의 간이과세자에 해당될 경우 통신판매업 신고 면제대상 이라고한다. 기존에는 스마트스토어 운영을 위해서는 통신판매업 신고가 필수였고, 판매 건수에 따라서도 신청이 필요했으나 변경되었다고 한다.(2020년 7월부로 변경) 직전년도 누적 판매금액 8,000만원이상 또는 당해년도 1월1일부터 판매금액 8,000만원이상 일 경우 통신판매업을..